top of page

1920-30년대 서울의 주거공간 실내장식 연구

Home Decorating in Seoul in 1920-30s

 

이솔 Lee, Sol

개항과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가속화된 주거와 주생활의 변화는 주거 실내장식의 확대와 위상의 변화를 가져왔다. 1920-30년대 주거공간의 실내장식에 대한 여러 논의들은 근대 교육을 받은 신지식인들에 의해 생산되었으며, 여성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신문의 가정란과 여성지에서 유통되었다. 이 연구는 1920-30년대 주거공간의 실내장식과 관련한 담론이 어떠한 맥락에서 생겨나는지, 그 내용은 무엇이었는지, 주생활의 형식과 양식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여성이 주거공간의 실내장식을 담당하게 되는 데 영향을 미친 요소와 그 의미에 대해 추측한다. 식민지 수도 경성의 모습을 형성하는 데 직간접적으로 참여한 조선인 건축가들이 집과 실내장식의 개량과 개선을 요구한 규범적 언술들은 당시 급속도로 성장한 대중 매체를 통해 '셀러브리티'가 된 사람들의 거주 모습과 함께 주거의 실내를 소비와 장식의 공간으로 확립하였다. 그 가운데서 여성을 독자로 삼은 실내 디자인 기사들은 주거 공간 내부를 기획하고 개조하는 임무이자 권리를 근대 주부의 그것으로 확립함으로써 당시 주거 내부에서 일어나고 있던 젠더 질서의 변화에 일조하고 있었다. 주거공간의 실내장식을 둘러싼 사회 문화적이고 미적인 측면을 검토하는 것은 이 시기 도시를 넘어 주택의 내부에까지 침투한 소비문화를 보여줄뿐만 아니라, 잡지의 독자이자 실내장식의 주체로서 중간 교양층 여성이 대두하는 사회변화의 일면을 드러내기도 한다. 

Following the port opening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ch accelerated the shift in habitation and domestic living, this led to a substantial change in the status and extent of home decoration. A large number of discourses regarding residential interior designs during the 1920s and 30s was produced by intellectuals who had received modern education, and was circulated in the newspaper’s household sections and women’s magazines. This article examines under what circumstances the discourses regarding residential interior designs during the 1920s and 30s emerged, what the discourse was about, what were the elements that influenced women's rising engagement in home decoration and its significance. The normative statements of Korean architects, who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ed in shaping the appearance of the colonial capital Seoul, that demanded improvements and reform in houses and interior design established the residential interior as a space of consumption and decoration, together with the residential images of famous figures who became “celebrities” through the then rapidly growing mass media, regardless of the political stance. In the midst of that, interior design articles that targeted female readers established and refined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modern housewife and contributed to the transition of gender order that was taking place within the house. Examining the social, cultural and aesthetic aspects of home decoration not only shows the consumption culture that penetrated the city and the interior of the houses, but also reveals a facade of social change in which middle class educated women were emerging as readers of magazines and principal interior decorator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