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임선영

 

한국 지방자치단체

도시 상징디자인의 역사와 실태 연구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디자인역사문화 전공 석사학위논문 (2018)

 

 이 연구는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도시 상징디자인이 제작된 배경을 살펴보고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그 전개 양상과 수용 담론을 분석하여 한국 지자체 상징디자인의 역사와 실태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1995년 지방자치제의 시행 및 세계화와 지역화의 영향으로 국내 지자체들은 대표적인 이미지를 조성하고 지역을 홍보하기 위해 도시 상징디자인을 도입했다. 지난 20여 년에 걸쳐 지자체마다 휘장(심벌마크)을 비롯하여 캐릭터, 브랜드 슬로건과 같은 상징물들을 다양하게 제정하였고, 이를 도시 공간 속에 적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간 도시 상징디자인은 때로는 지역 경제를 부흥시키는 홍보 수단으로 여겨졌으며, 때로는 도시 이미지와 무관하게 제작되어 예산 낭비의 결과를 초래했다. 이에 한국 도시 상징디자인의 역사와 실태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의 수도이면서, 다양한 상징디자인을 도입한 서울시의 사례에 집중하였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Ⅱ장에서는 일제강점기에서부터 1990년대 이전까지 서울시 상징디자인의 역사적 맥락을 상징적 의미와 조형적 특징의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일제강점기의 도시 상징디자인은 일본 가문 문장, 일본 지자체 휘장의 형태와 의미가 유사하게 제작되었다. 해방 후 1947년 도입된 서울시의 새로운 휘장도 일본식 휘장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문제를 확인하였다. 또한, 1990년대 새롭게 상징디자인이 도입된 사회적 배경을 지자체의 시행, 세계화와 지역화, 그로 인한 도시 마케팅의 발전으로 서술하였다.

 Ⅲ장에서는 지방자치제가 시행된 1995년 이후 도입된 서울시 지자체 상징디자인을 시대 순으로 도입 배경, 전개 과정, 활용 양상 등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하였다. 특히 지자체 상징디자인의 공공적 기능과 역할에 집중하여 고찰한 결과, 여러 한계점을 발견하였다. 먼저 1996년 제정된 휘장은 산, 해, 강이라는 일상 모티프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지역과 구분되는 차별성을 갖지 못하였고, 1998년 제작된 캐릭터 왕범이는 서울시 상징으로 적극적으로 사용되지 못하였다. 국내 첫 브랜드 슬로건인 Hi Seoul은 다소 가볍다는 지적이 있었으며 도시의 내용적 측면을 담아내지 못하였다. 2008년 디자인서울 사업의 일환으로 서울시 심볼로 선정된 해치는 상징물 제작 절차와 조형적으로 완성도가 낮은 결과물로 인해 시민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2015년 도입된 브랜드 슬로건 I·SEOUL·U는 거버넌스 개념을 도입하여 최다 인원이 제작에 참여하였으나 의미가 쉽게 소통되지 않았다는 평을 받았다. 또한, 이러한 서울시 상징디자인들이 도시 공간에 활용되고 퇴적되면서 서로 어울리지 않는 요소의 혼재로 인해 통합성이 결여된 문제를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서울시 상징디자인에 관한 수용 담론을 살펴보기 위해 언론 보도 분석을 시도했다. 서울시 상징디자인에 관한 언론 보도는 꾸준히 증가해왔으며 상징디자인에 관한 시민들의 관심과 비평적 시각도 함께 늘어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기사에 의하면 시민들은 상징물 제작 과정에 자신들의 의견이 반영되어 적합하게 절차가 진행되길 바랐으며, 도시 상징디자인이 단체장의 치적을 위해 과시용으로 제작되는 것을 경계하였다. 또한, 도시 상징디자인에 서울시만의 독창성을 담는 동시에 한번 제작한 도시 상징디자인은 지속성을 갖고 유지할 것을 요구하였다.

서울시 상징디자인에 대해 역사적 맥락과 실태, 수용자적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분석한 결과 서울의 도시 상징디자인은 그 공공적 역할과 기능을 충분히 담아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주요어 : 도시 상징디자인, 도시브랜드, 공공디자인, 공공성, 서울시 상징디자인, 디자인정책

 

 

 

Sunyoung Lim

 

The History and the Current Conditions of Korean City Identity Design: A Seoul Cas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ity identity design of the Korean municipalities by analyzing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discourse in the form of media coverage o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in the case of Seoul city. In 1995, the local autonomy system was implemented and with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he local governments utilized city identity design to promote their region, and their representative image.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 municipalities have embraced city identity design in various forms, such as symbol marks, characters, and urban brand slogans, and used them across the urban landscape. City identity design was sometimes seen as a means of promoting the local economy and at times resulted in waste of budget regardless of the image of the city. Therefore, the history and current conditions of Korean city symbol design is to be looked at with a focus on the example of Seoul city, the capital of Korea, and a city that adopted various symbol designs over the years.

Before delving into the main discussion, the historical context of Seoul's identity design from the standpoint of symbolic meaning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until the 1990s shall be examined in Section II. The city identity desig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similar to the Japanese clan crests and municipal symbol marks in appearance, and meaning. The new symbol mark of Seoul, which was adopted in 1947 after liberation, did not deviate much from the Japanese emblem either. In addition, the social background behind the newly introduced identity design in the 1990s is outlined as: the implementation of local government,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urban marketing.

In chapter Ⅲ, the Seoul City government’s identity design, which was adopted after 1995 when the local autonomy system was enforced, is discussed with a focus on the background, development process and usage patterns. An in-depth exploration into the public functions and roles of local government symbol design shed new light on several limitations. First, the 1996 symbol mark consisted of ordinary motifs such as the mountain, sun and river, rendering it undistinguishable from that of other regions. The character ‘Wangbeom-I’, produced in 1998, was not widely used as the symbol of Seoul; while the first local government’s brand slogan in Korea, ‘Hi Seoul’, was criticized for being light and did not capture the key aspects of the city. As part of the design Seoul project in 2008, ‘Haechi’ was selected as the symbol of Seoul and received criticism from the citizens for the undue process during implementation, and the underwhelming quality of the results. The brand slogan ‘I·SEOUL·U’ put in place in 2015 introduced the concept of governance, with the most number of people being involved in the production. However it was criticized because of a lack in communicating the meaning behind the project. Furthermore, the various symbol designs of Seoul were utilized and accumulated in the city, and the lack of integration between such elements create a sense of discordance.

In Chapter IV, the discourse on the process of the symbol design implementation in Seoul is reviewed in depth through media coverage analysis. Reports on Seoul's identity design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confirming that citizens' interest in, as well as critical views on city identity design both have been increasing. According to the media, the citizens want their opinions to be reflected in the process of city identity design creation, and are wary of design being exploited by the leaders for the purpose of personal propaganda. In addition, the public called for the designs to truly capture the uniqueness of Seoul as well as maintain continuity once something is created.

As a result of analyzing various aspects of Seoul’s identity design in terms of historical context,, and audience, it appears that Seoul's identity design failed to fully capture its public role and function.

 

 

keywords : City Identity Design, City Brands, Urban Design, Publicness, Seoul’s Identity Design, Design Policy

1) 서울 시청에 걸린 휘장 . 1996.

2)해치 기념품 판매모습.

3)브랜드 슬로건 I.SEOUL.U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