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남기웅

 

한국 디자인 잡지 저널리즘과 디자인 비평의 조건

서울대학교 디자인역사문화 전공 석사학위논문 (2018)

 

이 연구는 1976년부터 2005년까지 발간된 디자인 잡지 비평문헌의 전개과정과 그 특징을 고찰하여 한국 디자인 잡지 저널리즘의 성격을 밝히고, 실천적 디자인 비평의 조건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의 디자인은 규모와 영향력의 면에서 많은 발전을 이루었지만, 이론과 철학의 면에서는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철학 빈곤의 현실에 대한 대안으로 디자인 비평이 언급된 지도 시간이 흘렀지만, 여전히 비평이 부재한 현실이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 인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디자인 비평 형태의 하나로 디자인 잡지에 실린 비평의 내용과 형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디자인 비평의 실천적 조건을 모색했다.

 

    이를 위해 먼저, II. 장에서는 디자인 저널리즘의 의미를 밝혔고, 이와 디자인 비평의 관계를 밝혔다. 그리고 이러한 맥락에서 다루어지는 디자인 잡지의 종류와 그것을 다루는 방법론적 틀을 제안했다. 즉, 디자인 저널리즘은 각각의 영역에서 개별적으로 수행되는 디자인 활동과 그 생산물에 관한 소식을 전하고 해석하는 행위를 통해 사회적 수용과 배제를 끌어내는 활동의 총칭이라고 정의했다. 이때, 디자인 활동과 생산물에 대한 해석의 역할을 디자인 비평이 담당하며, 이는 디자인 저널리즘의 한 축을 이루는 핵심적 역할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디자인 저널리즘과 디자인 비평의 관계를 바탕으로 III. 장에서는 종합 디자인지인 월간《디자인》의 비평문헌을 분석했다. 창간이후 2005년까지 85편의 비평문헌에 관한 서술을 통해 그 내용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월간《디자인》의 비평문헌은 발간되는 동안의 사회적 사건과 접점을 형성하며, 여러 층위의 비평문헌을 소통시켰다는 점을 확인했다. 하지만 종합 디자인지라는 매체의 특성으로 인해 관념적인 내용을 주로 다루었으며, 비평적 판단이 내려지지 않는 경우가 다수 존재했고, 매체 내의 지속성이 부족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IV. 장에서는 종합 디자인지의 비평문헌을 통해 파악한 비평문헌의 한계와 이에 대한 대안적 형태의 하나로 디자인 비평 전문지인 《디자인문화비평》의 내용과 형식을 살펴보았다. 비평 전문지 비평문헌은 통일된 주제의식 아래서 다양한 필진의 글로 구성되어 당대 디자인 현상에 대한 비평적 고찰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는 점을 확인했다. 서로 다른 디자인 잡지의 비평문헌이 가진 내용과 형식을 살펴보는 것을 통해 현장성, 비평적 실천, 그리고 지속성이라는 디자인 비평의 세 가지 실천적 조건을 제안했다. 즉 디자인 비평은 한 사회의 변화하는 디자인 인식과 함께 디자인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다양한 현장을 특정한 관점에서 조명 해야 하며, 여기서 발견된 가치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이러한 디자인 비평은 급변하는 매체 환경에 대응하는 지속할 수 있는 형태를 모색해야 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디자인 저널리즘의 의미를 확인하고, 디자인 잡지에서 역사적으로 소통된 디자인 비평의 구체적 내용과 형태를 확인하는 것을 통해 그 한계와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했다. 수많은 인공물과 함께 살아가는 현시대를 반추하며 동시에 견인할 수 있는 비평의 제구실을 위해 이 연구가 작은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디자인 저널리즘, 디자인 잡지, 디자인 비평, 문화 저널리즘

 

 

 

Kiwoong NAM

 

Korean Design Magazine Journalism and the Condition of Design Critic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magazine criticism published from 1976 to 2005, to reveal the nature of Korean design magazine journalism and to find the conditions of practical design criticism. Although Korean design has made much progress concerning scale and influence, some people evaluated that many arguments have not been made regarding theory and philosophy. It has been a while since design criticism has been mentioned as an alternative to the reality of this philosophical poverty, but it is true that there is still a reality without criticism. Based on this awareness,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 and form of criticism in the design magazines as one of the types of design criticism and sought the practical conditions of design criticism when practicing it.

    For this, In chapter II,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meaning of design journalism and described the relationship between it and design criticism. Moreover, the researcher proposed the kind of design magazine covered in this context and a methodological framework to deal with it. In other words, design journalism is defined as the collective term of activities that draw social acceptance and exclusion through communicating and interpreting news about design activities and their products that are performed individually in each domain. At this time, it was confirmed that design criticism plays a role of interpretation of design activity and outcomes, which is a crucial role of design journalism.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journalism and design criticism, chapter III analyzed the criticism of monthly 《design》, which is one of the general design magazines. The researcher has been reviewed 85 design criticism literature in that magazine, Since its inception in 2005. As a result, the monthly 《Design》’s criticism literature formed social points and contacts during publication and confirmed that the criticism documents of various levels were communicated. However,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general design magazine, the magazine focused mainly on conceptual contents, and there were many cases without critical judgment.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limit to the lack of sustainability in the media.

    In Chapter IV, the researcher reviewed the contents and form of 《The Journal of Design Culture and Criticism》, which is the criticism literature and the alternative way of it. Criticism literature was composed of diverse writers' materials under a unified theme of consciousness, confirming the critical review of contemporary design phenomena. Through reviewing the content and form of the different design magazine criticism literature, the researcher proposed three realistic conditions of design criticism: field of view, critical practice, and persistence. In other words, design criticism has revealed that a society needs to recognize the changing design and the various places where the design is produced and consumed from a specific point of view. Also,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se design critiques must seek a sustainable form corresponding to the rapidly changing media environment.

    Through this study,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limits and new possibilities through identifying the meaning of design journalism and identifying the actual contents and form of the design critique communicated historically in the design magazine. In order to confirm that design criticism is not a form of writing that exists solely concerning design journalism, but that there are many possibilities in the concrete structure as well as contents of design practice that presupposes social communication.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 small clue to the role of criticism that can be traced simultaneously to reflect the present age of living with many artifacts.
 

Keywords: Design Journalism, Design Magazine, Design Criticism, Cultural Journalism

 

kiwoong01.jpg
kiwoong02.png

1)  디자인문화비평 01호 표지(1999년).

2) 월간 디자인 창간호 표지(1976년).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