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특허제도에서 의장意匠과 실용신안實用新案의 의미
The meaning of ‘design’ and ‘utility model’ in patent system during Japanese occupation in Korea
박지윤 Park, Jiyoon
이 글은 한국 땅에서 특허제도가 시행된 지 120년이 흐른 지금, '디자인'이라는 용어는 사회문화적으로 그 의미가 역동적으로 성장해 온 반면, 법제도에서 다루어지는 '디자인'은 그 본질을 충분히 담지 못하고 피상적 의미에 머물러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법제도 안에서 디자인 개념의 기원을 찾아 일제강점기 의장과 실용신안의 의미와 개념 정의, 용어 사용의 기원을 추적해 오늘날 디자인보호법에서 정의되는 디자인 개념의 본질과 한계를 짚어본다. 또한, 장식과 기술로 구분하는 특허제도의 개념 구조가 오늘날 다각도로 복잡해진 디자인 활동을 입체적으로 수용하지 못하는 요인으로 작동하고 있지만, 일제강점기 과학기술 발전의 척도로 활용된 실용신안을 조선인의 디자인적 약진이 가능했던 분야로 보고 디자인사 연구에서 가지는 새로운 역사적 의미를 발견해보고자 한다.
After 120 years since patent system was first started in Korea, the sociocultural definition of 'design' has been expanding dynamically over the time while the legal definition of it has stayed in the past not being able to embrace the new nature of design.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ept and the terms used in defining design in Japanese Design and Utility Model Law enacted in Korea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in searching the origin of the legal concept and meaning of design in current Korean Patent Law. Also, although the distinction between design and utility in patent system seems to be and impediment in accepting ever expanding design activity in legal framework today, it will be revealed that the Utility Model helps shed light on finding new meaning of Korean design history as it functioned as a measurement for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for Koreans offering better accessibilities than Patents.